저희 한의원에 질문을 주실 때 답글 내용중에 피부 기능이라는 단어를 많이 사용하지요.
피부 기능이란 단어에 대해 익숙하지 않게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아서 설명드리겠습니다.
피부는 독립적인 기능이 있습니다.
저희 한의원에서는 피부 증상이 발생하면 피부 기능이 떨어져 발생하는 것으로 원인을 진단하지요.
아마도 처음 들어보시는 설명이어서 쉽게 이해가 안될 것으로 생각하지만,
피부의 독립적인 기능이 있다는 것은 양방 피부 과학책에 보시면,
피부가 오장 육부의 부속물이 아니고 피부의 독립적인 기능이 있다고 서술되어 있으며,
이런 기능이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당연히 피부병이 발생하는 것이 아닐까요?
위장 기능이 떨어지면 위장병,
신장 기능이 떨어지면 신장병,
피부 기능이 떨어지면 어떤 병?...피부병이 생기는 것입니다.
피부 증상이 어떤 형태로 어느 부위에 나타나는가?...예 따라서 피부 병명에 대한 진단을 다르게 할 뿐입니다.
피부의 정상 기능중에는 여러가지 기능이 있는데,
그중에서도,
1), 피부의 모공이나 땀구멍이 수축 이완하는 운동 기능,
2), 운동 기능을 통하여 우리 몸에서 유발되는 열이 피부의 모공이나 땀구멍을 통하여 수분이나 땀의 형태로 나가는 열 배출 기능,
3), 열 배출을 통하여 체온 조절을 하는 체온조절 기능
4), 호흡 기능
5), 자기 방어기능 등등이 있는데,
위와같은 피부의 정상적인 기능이 떨어지면,
피부의 운동 기능이 원활하게 작용하지 못하면 우리 몸에서 유발되는 열이 피부의 모공이나 땀구멍을 통하여 빠져나가지 못하기 때문에,
피부 내측에 열이 누적됩니다.
열이 누적되면,
누적되어 있는 열이 해당 부위의 피부에 있는 가는 모세혈관이 확장되어 피부 표면에 붉은 발진이 보이며,
열이 피부의 생리 기능을 통하여 빠져 나갈려고 피부를 자극할 때 따갑거나 가려운 일반적인 피부 증상을 느끼는 것입니다.
옛날에 우리는 어른들로 부터,
벌레에 물렸으 떄 상처 회복이 빠르게 안되거나 피부 증상이 자주 발생하거나 몹씨 건조한 증상이 있으면,
살성이 안좋아서..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
예를들면 위장 기능이 튼튼하면 밥을 두공기를 먹어도 소화가 잘 될 것이고,
위장 기능이 약하면 반공기만 먹어도 소화가 잘 안되면서 조금만 주의하지 않으면 자주 체하는..소화가 안되는 증상을 겪게 되지요.
이런 것 처럼 우리의 피부 기능도 독립적인 기능이 있기 때문에,
피부 기능이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약간의 외부의 환경적인 자극이나 섭취하는 음식물로 인하여 일종의알러지 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많아 지는데,
이런 경우에 원인과 자극을 확실하게 구분할 필요가 있는 것입니다.
피부 증상이 발생하면 내가 어떤 음식물을 잘못 섭취하였나?
그렇지 않으면 어떤 외부적인 환경에 자극을 받은 것은 아닌가?...라고 먼저 생각을 하게 되는데,
본인의 피부 기능이 건강하고 튼튼하다면 어떤 자극을 받는다고 하여도 피부 트러블이 전혀 보이지 않지만,
피부 기능이 떨어져있는 경우에는 약간의 자극에도 피부 증상이 쉽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원인과 자극에 대해 예를들어 설명드리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우리의 몸이 건강하면 어떤 찬바람을 쐬어도 감기에 쉽게 걸리지 않을텐데,
우리의 몸이 약해져 면역 기능이 떨어져있다면 약간의 찬바람에 노출되어도 감기에 쉽게 걸리는 것을 알 수 있지요.
이런 경우에 원인은?...자극은?...
우리의 몸이 약한 것이 원인이며,
찬바람은 일시적인 자극에 불과한데 대부분의 분들은 찬바람을 쐬지 않았으면 감기에 걸리지 않았을 것으로 생각하기 떄문에,
찬바람을 감기의 원인으로 혼동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원인과 자극에 대해 구분이 되시는지?
위장 기능이 떨어져 위장병에 나타나더라도 사람에 따라서는 위장 기능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같은 위장병이라도 치료하는 기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지요.
위장 기능이 많이 떨어져 위장병이 온 경우는 치료 기간이 길어질 것이고,
위장 기능이 많이 떨어진 경우가 아이라면 치료하면 빠르게 정상적인 위장 기능을 회복할 수 있는 것 처럼...
피부 기능도 독립적인 기능이 있기 떄문에 사람마다 같은 증상을 겪는다 하여도 피부 기능이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가?...에 따라서 치료 기간에 차이가 있는데,
예를들어 피부의 정상적인 기능이 숫자로 표현할 때 10 이라면,
사람에 따라서는 9 정도의기능, 8, 7, 6, 5 등등의 기능 차이가 있습니다.
위와같은 기능의 차이에 따라서 피부 증상의 발생빈도도 다르고,
치료 기간의 차이도 나타나는 것입니다.
피부는 우리 인체의 5장6부의 부속물이 아니고,
독립적인 기능이 있음으로써 독립된 하나의 기관으로 생각하셔야 합니다.
그러므로,
피부 증상이 발생하면 내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원인을 진단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며,
이런 원인 진단에 바탕을 두고 치료를 한다면 치료 또한 이루어지지 않겠죠?
위장 기능이 떨어져 위장병이 발생하면 위장 기능을 튼튼하게 하는 방법으로 치료해야만 근본적인 원인 치료가 이루어지는것처럼,
피부 질환 엮시 피부 기능이 떨어져 발생하는 증상이어서,
피부 기능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치료해야만 근본적인 원인 치료를할 수 있다고 말씀드리는 설명에 이해가 되시는지요?
어떤 심한 오장 육부의 질병이 발생하여도 피부 트러블이 같이 수반된다는 설명을 들어 본 적이 있으신지요?
피부 질환이 발생하면 간에 문제가 있는것 처럼 설명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간에 질환이 생기면 얼굴에 색으로...약간은 노랗고 검은 색이 나타나는 것이며,
빨갛게 발진이 나타나는 경우는 없으니까요.
오장육부의 질병이 생겨 나타나는 것은 얼굴이나 우리 몸의 전체적인 색의 변화이며,
피부증상 처럼 빨갛게 발진이 나타나는 경우는 없습니다.
건강이 나빠져 나타나는 색과 피부 발진과는 확실한 차이가 있습니다.
원인 진단이 얼마나 중요한가는 치료의 바로 미터가 되기 때문에 정확하게 알고 치료하는 것이,
치료의 지름길이라고 말씀을 드리니 참고하시길 바라겠습니다.
피부 기능이란 용어에 대해 이해가 되셨는지?